본문 바로가기

좋은 정보를 제공합니다./부동산 및 주식

2025년 주택담보대출, 도대체 얼마나 빌릴 수 있는 걸까?

2025년 주택담보대출, 도대체 얼마나 빌릴 수 있는 걸까?

– 진짜 쉽게 알려드립니다!

오늘은 대출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해요.
특히 ‘집을 살 때 돈을 어떻게 빌리는지’ 완전 쉽게 알려드릴게요.
즉, 주택담보대출이 궁금하신 분이라면, 이 글은 무조건 끝까지 읽어보셔야 합니다.


집을 살 땐 왜 대출이 필요할까?

요즘 아파트 가격은 수억 원이 넘는 경우가 많아요.
그럼 대부분의 사람들은 현금으로 다 사지 못하고, 은행에서 ‘대출’, 즉 돈을 빌립니다.

그런데 아무나 원하는 만큼 돈을 빌릴 수 있을까요?
정답은 “NO!”

은행은 이렇게 생각해요.
“이 사람이 정말 돈을 갚을 수 있을까? 혹시 못 갚으면 대신 받아갈 물건(=담보)은 있을까?”

그래서 은행은 집을 담보로 돈을 빌려줘요.
이걸 주택담보대출이라고 해요.


담보? 그게 뭐야?

예를 들어 친구가 100만 원을 빌려달라고 해요.
그런데 안 갚을까 봐 걱정돼요.

그때 친구가 이렇게 말해요.
“내 휴대폰을 너에게 맡길게. 내가 돈 못 갚으면 내 휴대폰 너 가져.”

→ 이 휴대폰이 바로 ‘담보’예요.
→ 당신은 ‘은행’ 역할을 하는 거고요.


은행은 얼마나 빌려줄까?

은행은 아무렇게나 돈을 빌려주지 않아요.
세 가지 기준을 꼭 봅니다!

  1. LTV (Loan To Value)  – 집값을 보고 판단
  2. DTI (Debt To Income)  – 수입을 보고 판단
  3. DSR (Debt Service Ratio)  – 대출을 받으려고 하는 사람의 현재 빚이 얼마나 있는지까지 본다

너무 어려워 보인다고요?
괜찮아요. 지금부터 하나씩 쉽게 알려드릴게요.


1️⃣ LTV: 집값의 몇 퍼센트를 빌려줄까?

LTV는 구매하려는 집값을 기준으로 대출금이 얼마나 나오는지를 말해요.

예를 들어,

  • 3억 원짜리 아파트를 사고 싶어요.
  • LTV가 70%라면?
    👉 최대 2억 1천만 원까지 빌릴 수 있어요.

💡 여기서 집값은 '호가'가 아니라 KB부동산시세를 기준으로 합니다.

2025년 주택담보대출, 도대체 얼마나 빌릴 수 있는 걸까?

2️⃣ DTI: 얼마나 벌어야, 얼마나 빌릴 수 있을까?

DTI는 내 월급(수입)을 기준으로 얼마나 갚을 수 있는지를 보는 거예요.

예를 들어,

  • 월급이 200만 원인데, 매달 갚아야 할 돈이 180만 원이면?
    👉 남는 돈이 거의 없어서 위험하겠죠?
    → 은행은 이런 걸 막기 위해 DTI라는 기준을 씁니다.
  •  즉, DTI는 ‘내가 얼마나 벌고, 얼마나 갚을 수 있느냐’를 보는 지표예요.

3️⃣ DSR: 내 모든 빚을 다 합쳐서 본다!

DTI보다 더 꼼꼼한 게 DSR이에요.

  • DTI는 ‘주택대출’만 보지만
  • DSR은 신용카드 할부, 휴대폰 할부, 학자금 대출 등 모든 대출을 합쳐서 봐요.

→ 그래서 DSR 기준은 더 빡빡하다!

🧮 계산은 부동산 계산기 앱에서 손쉽게 가능합니다.
      부동산 계산기에서 대출 가능한 금액을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.

2025년 주택담보대출, 도대체 얼마나 빌릴 수 있는 걸까?

📊 예시로 계산해보자!

✨ 예: 연봉 3천만 원, 집값 5억 원일 때

  • LTV 70% 인 경우 → 3억 5천만 원까지 가능
  • 그런데 DTI, DSR로 보니 너무 많이 빌리는 거예요.
  • 결국 실제로는 2억 9백만 원 정도까지밖에 못 빌림

👉 나머지 돈은 내가 가진 돈으로 채워야 해요.


정리하면!

개념쉽게 말하면
LTV 집값 보고 대출 결정
DTI 월급 보고 대출 결정
DSR 지금까지 진 빚까지 다 보고 대출 결정

마지막 한마디

 

대출은 내가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느냐를 파악하고
그 안에서 현명하게 활용하면 정말 유용한 자산 확대 도구가 됩니다.

✔  용어부터 이해하고
✔  계산기로 내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확인하고
✔ 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계획을 세운다면,

📌 대출은 ‘빚’이 아닌 ‘기회’가 될 수 있습니다.